엘리자베스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리자베스 1세는 1533년 헨리 8세와 앤 불린의 딸로 태어났으며, 1558년 메리 1세 사후 잉글랜드 여왕으로 즉위했다. 그녀는 국교회 정비, 결혼 문제,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와의 갈등, 대외 정책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다. 엘리자베스는 스페인 무적함대 격파 등 잉글랜드의 국제적 지위를 높였지만, 말년에는 경제난과 가톨릭 탄압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튜더 왕조의 마지막 군주로서, 그녀는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으며, 오늘날까지 영국 교회에 영향을 미쳤다. 엘리자베스 1세는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며, 20세기 후반 이후로는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잉글랜드의 군주 - 펠리페 2세
펠리페 2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아들로 태어나 스페인, 이탈리아, 아메리카 등 광대한 영토를 물려받아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가톨릭 신앙을 옹호하며 종교 개혁 세력을 탄압하다가 1598년에 사망했다. - 16세기 잉글랜드의 군주 - 헨리 8세
헨리 8세는 1509년부터 1547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국왕으로, 여섯 번의 결혼, 잉글랜드 종교 개혁, 그리고 왕권 강화가 특징이며, 그의 통치 이후 세 명의 자녀가 왕위를 이었으나 튜더 왕조는 단절되었다. - 잉글랜드 여왕 - 메리 2세
메리 2세는 1662년에 태어나 1689년부터 1694년까지 윌리엄 3세와 함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를 공동 통치했으며, 명예 혁명 이후 권리 장전 통과를 통해 왕권 제한과 의회 권한 강화를 이끌었다. - 잉글랜드 여왕 - 앤 (영국)
앤은 1665년에 태어나 1702년부터 1714년까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여왕으로 재위했으며,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통합과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관여했고, 양당 정치 발전과 예술, 문화 번영을 이끌었다. - 17세기 잉글랜드의 군주 - 윌리엄 3세
윌리엄 3세는 네덜란드 출신으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이었으며, 명예 혁명을 통해 왕위에 올라 프랑스의 팽창을 막고 잉글랜드 의회 권한을 강화했으며, 대동맹 전쟁을 이끌고 잉글랜드 은행 설립을 지원하다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 17세기 잉글랜드의 군주 - 메리 2세
메리 2세는 1662년에 태어나 1689년부터 1694년까지 윌리엄 3세와 함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를 공동 통치했으며, 명예 혁명 이후 권리 장전 통과를 통해 왕권 제한과 의회 권한 강화를 이끌었다.
엘리자베스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엘리자베스 1세 |
로마자 표기 | Elizabeth I |
군주 칭호 | 잉글랜드 여왕, 아일랜드 여왕 |
재위 기간 | 1558년 11월 17일–1603년 3월 24일 |
대관식 | 1559년 1월 15일 |
왕가 | 튜더 가 |
아버지 | 헨리 8세 |
어머니 | 앤 불린 |
출생일 | 1533년 9월 7일 |
출생지 | 그리니치, 플라센티아 궁전, 잉글랜드 |
사망일 | 1603년 3월 24일 (향년 69세) |
사망지 | 리치먼드 궁전, 서리, 잉글랜드 |
매장일 | 1603년 4월 28일 |
매장지 | 웨스트민스터 사원 |
![]() | |
종교 | |
종교 | 성공회 |
기타 | |
나는 좋은 조언과 상담을 통해 나의 모든 행동을 지시하려고 한다. | 엘리자베스 여왕으로서의 첫 연설, 햇필드 하우스, 1558년 11월 20일 |
참고 | 1582년에 로마 교황그레고리오 13세는 율리우스력에서 그레고리력으로 개력을 시행하였지만, 잉글랜드 왕국은 그레고리력을 채택하지 않고 1750년 개력법 시행(1751년)까지 율리우스력을 사용하였다. 본 문서에서는 율리우스력을 사용한다. |
참고 | 짧은 기간 재위한 제인 그레이를 포함하면 6번째 군주이다. |
관련 정보 | |
계승 | 잉글랜드 여왕 및 아일랜드 여왕 ( 잉글랜드 왕의 스타일 참조 ) |
즉위 | 1558년 11월 17일 |
퇴위 | 1603년 3월 24일 |
선임자 | 메리 1세 |
후임자 | 제임스 1세 |
2. 즉위 이전 삶
엘리자베스 1세는 1533년 9월 7일 그리니치에서 헨리 8세와 그의 제1계비 앤 불린의 딸로 태어났다. 엘리자베스라는 이름은 친할머니인 요크의 엘리자베스와 외할머니인 엘리자베스 하워드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다.[273] 헨리 8세는 카탈리나와 파혼하면서 장녀 메리 1세의 왕녀 지위도 박탈하였기 때문에, 엘리자베스 1세는 태어나면서 왕위계승권자가 되었다.[274][275] 1533년 9월 10일 세례식을 받았고 캔터베리 대주교였던 토머스 크랜머를 비롯한 여러 귀족들이 대부모가 되었다.[276]
기대하던 아들이 아닌 딸이 태어났기에 헨리 8세는 몹시 실망하였지만, 앤 불린은 아직 젊었기 때문에 다음 출산을 기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앤 불린은 이후 몇 차례의 임신과 유산을 반복하며 더 이상 아이를 낳을 수 없었다. 인내심을 잃은 헨리 8세는 앤 불린에게 간통 혐의를 씌우고 1536년 5월 19일 처형하였다.[277] 당시 엘리자베스 1세는 2살에 불과하였다. 앤 불린이 처형되기 4개월전 아라곤의 카탈리나 역시 병으로 사망한 상태였기 때문에 어느 모로 보아도 헨리 8세는 다시 독신이 되었고 제인 시모어와 재혼하였다. 헨리 8세가 앤 불린과의 결혼을 무효로 선언하자 엘리자베스 1세의 왕녀 지위와 왕위계승권은 박탈되었다.
1537년 10월 12일 제인 시모어는 헨리 8세가 그토록 고대하던 아들 에드워드 6세를 낳았지만 산욕열을 앓아 10월 24일 사망하였다. 4살이었던 엘리자베스는 에드워드 6세의 세례식에 천과 성유를 드는 역할을 맡았다.[278] 엘리자베스 1세의 첫 개인 교사였던 마거렛 브라이언은 엘리자베스 1세를 "내 생에서 가장 온화한 아이"로 묘사하였다.[279] 1537년 개인 교사로 임명된 캐서린 챔퍼노운은 이후 평생 엘리자베스 1세와 가장 가까운 사이로 지냈다. 챔퍼노운은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다재다능한 인물이었고 엘리자베스 1세에게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를 가르쳤다. 1544년 윌리엄 그린달이 개인 교사가 되었을 때 엘리자베스 1세는 영어, 라틴어, 이탈리아어를 읽고 쓸 줄 알았다. 그린달은 그에 더해 프랑스어와 그리스어를 가르쳤다.[280] 12세가 되던 해 엘리자베스는 헨리 8세의 마지막 계비이자 자신의 계모인 캐서린 파가 쓴 《기도, 즉 명상》을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라틴어로 번역하여 헨리 8세에게 새해 선물로 주었다.[281] 어려서부터의 교육으로 엘리자베스는 인문학에 조예가 깊었고 평생 고대 고전의 작품들을 번역하는 취미를 즐겼다.[282][283] 2019년 램버스궁에서 엘리자베스 1세가 필사한 타키투스의 《로마 편년사》 필사본이 발견되었다.[284] 1550년 정규 교육을 마쳤을 때 엘리자베스 1세는 당대 유럽에서 가장 많은 지식을 지닌 여성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히는데 손색이 없었다.[285] 엘리자베스는 이 외에도 웨일스어, 콘월어, 스코틀랜드어 및 아일랜드어와 같은 브리튼 제도의 여러 언어들도 구사하였다. 1603년 런던에 주재하였던 베네치아 대사는 엘리자베스 1세가 여러 외국어를 마치 모국어와 같이 구사하였다며 놀라움을 보였다.[286]
1547년 헨리 8세가 사망할 당시 엘리자베스는 13 세였다. 왕위는 이복 동생인 에드워드 6세에게 계승되었고 헨리 8세의 마지막 계비였던 캐서린 파는 토머스 시모어와 재혼하였다. 토머스 시모어는 호국경으로서 섭정을 맡게 된 에드워드 시모어의 동생으로 둘 다 에드워드 6세의 외삼촌이었다. 엘리자베스는 시모어 가문에서 양육되었는데 토머스 시모어 때문에 성적인 문제가 엮인 감정적 위기를 겪는다. 당시의 경험은 엘리자베스의 일생에 걸쳐 영향을 미쳤다.[287] 엘리자베스는 이제 막 사춘기에 접어든 때였지만 토머스 시모어는 마치 어린 아이와 장난을 치듯 엘리자베스의 침대에 올라가 몸을 만지고 엉덩이를 때리기까지 하였다. 엘리자베스는 이런 대우가 싫어서 되도록 아침 일찍 일어나 하인들을 침실에 불러들여 자신을 둘러쌓도록 하였으나 소용없었다. 캐서린 파도 새 남편의 이런 행동을 알았지만 처음에는 그저 장난으로만 여겼고 시모어가 엘리자베스의 침실에 들어갈 때 동행하여 "장난"에 동참하기도 하였다. 시모어는 부인이 보는 앞에서 엘리자베스의 옷을 "수 많은 조각"으로 찢기까지 하였다고 한다.[288] 그러던 어느날 캐서린 파는 엘리자베스를 끌어안고 있는 남편을 보게 되었다.[289] 1548년 5월 캐서린 파는 엘리자베스를 집 밖으로 쫓아내어 이 상황을 끝냈다.
토머스 시모어는 야심이 많은 사람이었고 왕족을 자신의 통제 아래 두고자 하였다. 캐서린 파와의 결혼 역시 왕실 장악을 위한 의도된 접근이었을 것이다. 그는 이를 통하여 공식적인 섭정이었던 형 에드워드 시모어를 제치고 자신이 국왕의 통제자가 되고자 하였다.[290][291] 캐서린 파는 딸 메리를 낳은 지 얼마 지나지 않은 1548년 9월 5일 산욕열로 사망하였다. 아내가 사망하자 토머스 시모어는 다시 엘리자베스에게 접근하고자 하였고[292] 엘리자베스의 개인 교사인 케이트 아슬리를 통해 결혼을 압박하였다. 아슬리는 엘리자베스에게 "그의 슬픔을 위로할" 편지를 쓰는 게 좋겠다고 권유하였지만 엘리자베스는 토머스 시모어가 계모의 죽음에 그렇게 슬퍼하지 않을 것이라며 거부하였다.
토머스 시모어는 결국 음모를 꾸며 야망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에드워드 6세와 제인 그레이를 결혼시키고 형 에드워드 시모어를 섭정에서 축출한 뒤 자신이 그 자리에 올라 엘리자베스와 결혼하는 것이 목표였지만, 음모가 사전에 발각되자 1549년 1월 런던탑에 투옥되었다. 당시 해트필드 하우스에 머무르고 있던 엘리자베스는 심문관의 질문에 토머스 시모어의 음모에 대해 아는 바가 전혀 없다고 진술하였다. 엘리자베스가 연루되었을 것이라 확신하고 있었던 심문관 로버트 티르위트는 "얼굴을 보면 유죄가 확실하다"고 기록하였다.[293] 1549년 3월 20일 토머스 시모어는 참수되었다.[294]
2. 1. 헨리 8세의 딸
엘리자베스는 1533년 9월 7일 그리니치 궁전에서 헨리 8세와 그의 두 번째 부인 앤 불린 사이에서 태어났다.[6] 헨리 8세는 튜더 왕조의 왕위 계승을 위해 아들을 원했지만,[7][8] 엘리자베스가 태어나면서 추정상속인이 되었고, 이복 언니 메리 1세는 왕위 계승권을 잃었다.[7][8] 1533년 9월 10일에 엘리자베스는 토마스 크랜머를 대부로 하여 세례를 받았다.[9]앤 불린은 1534년과 1536년에 유산을 겪고, 엘리자베스가 태어난 지 3년 만인 1536년 5월 19일 간통 혐의로 처형되었다.[10] 이후 엘리자베스는 서자 신분이 되어 공주 칭호를 박탈당하고 왕위 계승권에서 제외되었다.[11] 헨리 8세는 앤 불린 처형 11일 후 제인 시모어와 결혼하여 아들 에드워드 6세를 얻었고, 에드워드는 왕위 계승 서열 1순위가 되었다.[12] 엘리자베스는 이복 오빠의 가정에서 자랐다.[12]

엘리자베스는 마거릿 브라이언, 캐서린 챔퍼노운, 윌리엄 그린달, 로저 애스컴 등의 가정교사로부터 훌륭한 교육을 받았다.[13][14] 그녀는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라틴어, 그리스어 등 여러 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했다.[14] 12세 때에는 계모 캐서린 파의 종교 서적을 번역하여 아버지에게 선물하기도 했다.[15] 또한 키케로, 보에티우스, 플루타르크, 타키투스 등 고전 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하며 학문에 정진했다.[16][15]
2. 2. 불우한 어린 시절
엘리자베스는 1533년 9월 7일 그리니치 궁전에서 헨리 8세와 앤 불린 사이에서 태어났다.[6] 외할머니인 요크의 엘리자베스와 엘리자베스 하워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 엘리자베스는 태어날 당시 왕위 계승 순위 1순위였으나,[7][8] 1536년 5월 19일 어머니 앤 불린이 처형되면서[10] 사생아로 선언되어 왕위 계승권을 박탈당했다.[11]이후 헨리 8세는 제인 시모어와 결혼하여 아들 에드워드 6세를 얻었고,[12] 엘리자베스는 이복 오빠의 가정에서 자라며 그의 세례식에서 세례포를 들었다.[12]
엘리자베스는 마거릿 브라이언과 캐서린 챔퍼노운 등의 교사로부터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 4개 국어를 배웠다.[13] 1544년부터는 윌리엄 그린달에게, 1548년 그가 사망한 후에는 로저 애스컴에게 교육을 받아[14] 당대 가장 교육을 잘 받은 여성 중 한 명으로 성장했다.[19]
1547년 헨리 8세가 사망하고 에드워드 6세가 즉위하면서,[22] 엘리자베스는 헨리 8세의 마지막 왕비였던 캐서린 파와 그녀의 새 남편 토머스 시모어의 집에서 양육되었다. 토머스 시모어는 엘리자베스에게 성적인 학대를 가했고, 이 경험은 엘리자베스에게 큰 정신적 충격을 주었다.[287]

시모어는 엘리자베스의 침실에 들어가 몸을 만지거나 엉덩이를 때리는 등 성추행을 일삼았고, 캐서린 파는 처음에는 이를 묵인하다가 결국 엘리자베스를 집에서 내쫓았다.[288][289]
1548년 캐서린 파가 사망하자 토머스 시모어는 엘리자베스에게 다시 접근하여 결혼을 압박했으나,[292] 엘리자베스는 이를 거부했다. 토머스 시모어는 1549년 1월 런던탑에 투옥되어 3월 20일에 참수되었다.[293][294]
2. 3. 메리 1세와의 갈등
엘리자베스 1세는 이복 언니 메리 1세가 1553년 즉위한 후, 가톨릭 복고 정책으로 인해 갈등을 겪었다.[31] 1553년 7월, 병약했던 에드워드 6세가 15세의 나이로 사망한 뒤, 제인 그레이가 즉위하였으나 9일 만에 폐위되었고, 메리 1세가 즉위하면서 엘리자베스와 함께 런던에 입성하였다.[238] 하지만 메리 1세의 가톨릭 복고 정책과 합스부르크가의 펠리페와의 결혼으로 인해 사람들의 반발을 샀고, 엘리자베스가 대안으로 부상하기 시작하였다.[31]1554년 와이어트의 난이 발발하자, 메리 1세는 엘리자베스를 반란 연루 혐의로 런던탑에 가두었다.[295][32] 엘리자베스는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였고,[296][33] 메리 1세의 측근들은 엘리자베스가 반란을 주도하지 않았더라도 반란 세력과 접촉했을 가능성을 의심하였다. 카를 5세의 대사 시몬 르나르는 엘리자베스가 살아있는 한 메리 1세의 왕좌가 안전하지 않을 것이라 경고하였고, 대법관 스티븐 가디너는 엘리자베스를 재판에 회부하려 하였다.[297][34] 하지만 정부 내 신료들의 탄원으로 엘리자베스는 런던탑에서 나와 우드스톡에 있는 헨리 베딩필드의 장원에서 1년 가까이 가택 연금되었다.[298][35]

1555년, 메리 1세의 임신 소식에 엘리자베스는 런던으로 돌아왔으나, 메리 1세의 임신이 사실이 아님이 밝혀지면서 엘리자베스의 왕위 계승 가능성이 확고해졌다.[299][300][37][38] 1556년, 펠리페는 프랑스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엘리자베스와의 동맹을 모색하였다.[301][39] 1558년, 메리 1세가 병세가 위중해지자 펠리페 2세는 엘리자베스에게 사절을 보내 협의하였고,[302][40] 메리 1세는 11월 16일 엘리자베스를 후계자로 인정하고[303][41] 다음 날 사망하였다.[304][42]
3. 재위 기간
1558년 11월 17일 메리 1세가 사망하자 엘리자베스는 왕위를 계승하였다. 추밀원의 신료들이 충성을 맹세하기 위해 해트필드 하우스로 온 자리에서 엘리자베스는 자연적 신체와 정치적 신체를 구별하는 정치철학을 연설하였다.[305] 엘리자베스는 이 연설에서 "나는 자연스러운 하나의 몸이나, 여러분의 조력을 받아 신의 허락에 따라 통치할 정치체이기도 하오"라고 선언하며 자신의 통치 철학을 밝혔다.[306]
런던의 대다수 시민들은 엘리자베스의 즉위를 반겼다. 그들은 축제를 열고 환호를 외치며 엘리자베스를 환영하였다.[307] 왕실 연금술사였던 존 디가 길일로 선정한 1559년 1월 15일 엘리자베스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대관식을 가졌다.[308][309]
엘리자베스는 열렬한 환호 속에 즉위하였으나 나날이 증가하는 가톨릭 국가들과의 갈등과 함께 결혼하지 않아 후사가 없다는 점은 불안 요소로 작용하였다.[310] 이는 엘리자베스 1세의 통치 기간 내내 중요한 문제로 남았다.
3. 1. 국교회 정비
엘리자베스 1세는 즉위 당시 종교개혁의 혼란 속에 있던 잉글랜드의 종교적 갈등을 완화하고자 노력했다.[311] 1559년 잉글랜드 의회는 국왕을 수장으로 하고 가톨릭적 요소를 일부 포함하는 교회법을 입법하였다.[312] 엘리자베스는 가톨릭에 대해 관용적인 태도를 취하면서도 청교도는 엄격히 단속했다.[313]1559년 5월 8일 공포된 새로운 수장령에 따라 모든 공직자는 잉글랜드 국교도로서 국왕에게 충성을 서약해야 했고, 개정된 공동기도서의 전례를 따라야 했다.[314] 엘리자베스 1세는 많은 주교직이 공석이었던 상황을 이용하여 법안 통과를 강행할 수 있었다.[54][55] 메리 1세 시기의 이단법은 폐지되었고, 국교회 전례에 불참하더라도 처벌은 가혹하지 않았다.[314] 새 기도서와 전례는 잉글랜드 국교회가 가톨릭과 성찬에 대한 해석에서 화체설을 부정하는 등 차이를 분명히 하는 데 기여했다.[314]
엘리자베스 1세는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수장(Supreme Head)이라는 칭호 대신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통치자(Supreme Governor of the Church of England)라는 칭호를 사용했다.[56] 이는 여성이 교회의 수장이 되는 것에 대한 반감을 고려한 조치였다.[56]

1563년에는 39개조가 제정되어 잉글랜드 국교회 체제가 확립되었다.
3. 2. 결혼 문제
엘리자베스 1세는 즉위 전부터 많은 청혼을 받았으나 거절하였고 즉위 후에도 결혼에 큰 관심이 없었다. 어린 시절 토머스 시모어에게 받은 성적 학대가 이러한 성향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315][316][57][58] 그러나 혼담은 꾸준히 오갔으며, 마지막 결혼 협상 대상은 1583년 22살 연하의 앙주의 프랑수아였다. 여왕의 결혼은 메리 1세의 경우처럼 상대의 정략에 놀아날 위험이 있었지만, 후계자를 출산하여 왕위를 굳건히 할 기회이기도 했다.[317][59] 그러나 의회의 의사에 반하는 결혼은 반란을 불러올 수도 있었다.[318][60]

즉위 초 엘리자베스와 로버트 더들리는 서로를 마음에 둔 것으로 알려졌다.[319][61] 이미 결혼한 더들리의 아내 에이미는 "한쪽 가슴에 질병"이 있어[320],[62] 엘리자베스는 그녀가 사망하면 더들리와 결혼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각국의 대사들은 둘의 관계를 추문으로 퍼뜨렸다.[321][63] 1560년 더들리의 아내 에이미는 계단에서 추락사했고, 많은 사람들은 여왕과의 결혼을 위해 더들리가 아내를 살해했다고 의심했다.[322][65] 엘리자베스는 더들리와의 결혼을 진지하게 고려했지만, 윌리엄 세실 등 측근들은 반대했다.[323][68] 귀족들이 반란을 일으킬 것이라는 소문도 돌았다.[324][69]
측근들의 반대로 엘리자베스는 더들리와의 결혼을 포기했지만, 이후로도 10여년 동안 더들리는 결혼 후보자로 거론되었다.[325][70] 엘리자베스는 더들리가 다른 여성을 만나는 것을 질투했다.[326][71] 1564년 더들리는 레스터 백작으로 책봉되었고, 1578년 레티스 놀리스와 재혼하자 엘리자베스는 둘을 증오하였다.[327][72] 그러나 엘리자베스는 평생 더들리를 잊지 못했고,[328][73] 사후에 정리한 유품에는 더들리가 보낸 마지막 편지가 간직되어 있었다.[329][74]

외국 왕족들 또한 엘리자베스에게 청혼했고, 엘리자베스는 이를 외교에 활용하였다.[330][75] 1559년 펠리페 2세의 청혼은 거절했지만, 스웨덴의 에리크 14세와는 몇 년간 협상했다.[331][332][333][76][77][78]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2세도 청혼 경쟁에 합류했다.[336]
엘리자베스는 가톨릭 왕족과의 혼담도 고려했다. 오스트리아의 카를 2세와 몇 년 동안 진지한 협상을 이어갔고, 1572년부터 1581년까지 프랑스의 앙주 공작 가문과 혼담이 오갔다.[337][82] 엘리자베스는 앙주 공작 프랑수아가 보낸 개구리 모양의 귀걸이를 착용하는 등 외교 관계를 활용하였다.[338][84]

엘리자베스는 결국 누구와도 결혼하지 않았고, 의회와 추밀원은 1570년이 되어서야 결혼을 포기했다. 엘리자베스는 후계를 공식적으로 거론하지 않음으로써 왕권 안정을 추구했다.[342][88]
결혼하지 않은 엘리자베스에 대해 대중들은 성모 마리아의 처녀성을 숭배하는 경향을 보였고, 많은 문학 작품에서 엘리자베스는 성스러운 처녀로 묘사되었다.[343][89] 엘리자베스는 1559년 의회 연설에서 "처녀로 살다 죽겠다"고 언급했고,[344][90] 1599년에는 "국가와 결혼하였다"고 선언하였다.[346][92]


가톨릭 교도들은 엘리자베스를 비난했고,[347][93] 앙리 4세는 엘리자베스의 처녀성 여부를 비꼬았다.[348][94] 엘리자베스와 더들리의 관계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었고, 엘리자베스가 비밀리에 임신과 출산을 했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로 여겨진다.[357][358][99][100]
3. 3.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와의 갈등
엘리자베스 1세의 치세 동안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 1세는 잉글랜드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며 지속적인 위협이 되었다.[359] 메리 1세는 헨리 7세의 딸 마거릿 튜더의 후손이었기 때문에 잉글랜드 왕위 계승권을 주장할 수 있었고, 엘리자베스 1세가 후계자가 없는 상황에서 "가장 가까운 혈족"임을 강조하며 위협을 가했다.[359] 프랑수아 2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였던 메리 1세는 가톨릭 신자였고, 프랑스에서는 엘리자베스 1세를 대신할 정당한 잉글랜드 여왕으로 여겨졌다.[101]스코틀랜드 교회는 장로교였기 때문에 메리 1세는 종교 갈등 속에서 잦은 반란에 직면했고, 프랑스 군대를 스코틀랜드에 주둔시켜 반란을 억제하려 했다. 엘리자베스 1세는 이를 잉글랜드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고[360] 스코틀랜드 개신교 반군을 지원했다.[361] 비록 군사적 지원은 성공적이지 못했지만, 메리 1세가 프랑스에 있는 동안 스코틀랜드 의회의 개신교 귀족들을 포섭하는 계기가 되었다.[105]
1563년 엘리자베스 1세는 메리 1세에게 자신의 총신 로버트 더들리와의 혼인을 제안했지만,[362] 메리 1세는 1565년 단리 경 헨리 스튜어트와 재혼하여 엘리자베스 1세를 도발했다. 단리 경 역시 마거릿 튜더의 후손이었기에 이 결혼은 엘리자베스 1세 사후 잉글랜드 왕권이 스튜어트가로 계승될 것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정략결혼은 실패로 끝났고, 단리 경은 개신교 반군과 음모를 꾸며 메리 1세의 측근을 암살했다. 1567년 단리 경이 살해된 후, 메리 1세가 단리 경 살해 배후로 지목되던 보스웰 백작 제임스 헵번과 재혼하자 스코틀랜드 귀족들은 반란을 일으켰다.[363]
결국 메리 1세는 1568년 왕위에서 물러나 잉글랜드로 망명했다. 엘리자베스 1세는 메리 1세를 돕는 대신 19년간 잉글랜드에 연금하는 안전한 방법을 택했다.[364]

1569년 잉글랜드 북부에서 가톨릭 반란이 일어났고, 이들은 메리 1세 옹립을 명분으로 내세웠으나[365] 엘리자베스 1세는 반란을 진압하고 750여 명을 처형하였다.[366] 엘리자베스 1세는 가톨릭에 대한 강경책을 완화했지만,[369] 1581년 형벌법은 가톨릭으로 개종시키려는 시도에 대해 반역죄를 적용하도록 했다.[370]
메리 1세는 배빙턴 음모사건에 연루되어 1587년 참수되었다.[373] 엘리자베스 1세는 자신의 간첩을 통해 메리 1세에게서 자필 서신을 얻어냈고, 이를 증거로 대역죄 재판을 열었다. 타국 국왕 처형에 부담을 느낀 엘리자베스 1세는 책임을 사형집행관에게 전가하는 모습을 보였다.[374]
3. 4. 대외 정책
엘리자베스 1세의 대외 정책은 대체로 방어적이었다.[375] 예외는 1562년 10월부터 1563년 6월까지 이어진 르아브르 점령으로, 엘리자베스는 칼레를 프랑스에 넘겨준 것에 대한 맞대응으로 르아브르를 점령하여 칼레와 교환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19] 1563년 르아브르 점령에 실패한 뒤, 엘리자베스는 1585년 네덜란드 독립 전쟁에서 스페인에 대항하기 위한 원군을 파병하기 전까지 유럽 대륙에 군대를 보내는 것을 꺼렸다.[379]엘리자베스는 프랜시스 드레이크의 해적질을 통제하지 못했지만,[377][378] 그의 세계 일주 항해 이후 기사 작위를 수여했고, 드레이크는 스페인 항구와 함대를 습격하여 명성을 얻었다.[121][122] 카리브해와 북아메리카에서 스페인 함대를 사략하는 작전은 스페인에게 타격을 주고 잉글랜드에게 경제적 이득을 가져다주었으며, 당시 스페인과 잉글랜드의 교전 가운데 80%는 해전이었다.[376][120]
1585년, 스페인의 네덜란드 총독 파르마 공작 알레산드로 파르네세가 안트베르펜을 공격하자 엘리자베스는 네덜란드 독립파에게 원군을 약속했고,[380] 이로써 잉글랜드-스페인 전쟁이 시작되었다. 엘리자베스는 스페인과의 전면전을 원치 않았고, 원정대 지휘관 레스터 백작 로버트 더들리는 네덜란드 도착 후 비밀리에 평화 협상을 시작했다.[381] 엘리자베스는 "어떠한 결정적 교전도 하지 말 것"을 명령했지만,[382] 네덜란드 의회는 반발했고, 레스터 백작은 원정에 실패하고 1587년 사임했다.[383][384]

1588년, 스페인은 무적함대를 결성하여 잉글랜드를 침공하려 했으나, 그레벨링건 앞바다에서 잉글랜드 해군의 화선 공격에 대패했다.[387] 잉글랜드는 이 승리를 신의 은총이자 "처녀 여왕"의 지도 아래 단결한 국가의 불가침에 대한 상징으로 받아들였다.[389] 그러나 전황은 스페인에게 유리하게 진행되었고, 잉글랜드 침공 위협은 여전했다.[390][391] 1589년 잉글랜드는 드레이크-노리스 원정을 감행했으나 대패했고, 스페인은 해군 재건 시간을 벌었다.[398]
프랑스에서는 앙리 4세가 왕위를 계승하자 엘리자베스는 원군을 파견했으나,[399] 잉글랜드 원정군은 비효율적으로 운용되어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400] 아일랜드 왕국에서는 1594년부터 1603년까지 휴 오닐이 이끄는 아일랜드 반군이 스페인의 지원을 받으며 잉글랜드와 전쟁을 계속했다.[404] 엘리자베스는 아일랜드 반란을 가혹하게 진압했지만, 3만 명 이상이 굶어 죽는 비극이 발생했다.[403]
엘리자베스는 러시아 차르국의 이반 4세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동맹을 희망했지만, 이반 4세는 무역 외 사항에는 거리를 두었다.[406] 바르바리의 이슬람 세력, 모로코와도 교역을 맺고 군사 동맹을 협의했으나, 양측 군주 사망으로 진전 없이 종결되었다.[408][409]
1583년 험프리 길버트가 북아메리카에 식민지를 세웠고, 월터 롤리는 북아메리카 대서양 연안을 탐험한 뒤 버지니아라고 이름 붙였다.[410] 1600년, 잉글랜드 동인도 회사를 인가하여 인도 식민지 개척을 시작했다.[411]
3. 5. 말년
엘리자베스 1세는 스페인과의 장기적인 전쟁과 계속되는 흉년으로 인한 경제난, 그리고 가톨릭에 대한 탄압으로 통치 말년에 어려움을 겪었다.[413][414][415][416] 이러한 상황은 민심 이반으로 이어졌으며, 엘리자베스는 내부 첩자와 선전 선동에 의지하여 자신의 치세가 평화와 번영의 시대로 보이도록 노력해야 했다.[417]1590년대 이후 윌리엄 세실을 제외한 추밀원 인사들이 대부분 사망하면서, 에식스 백작 로버트 데버루와 윌리엄 세실의 아들 로버트 세실을 중심으로 파벌이 형성되어 갈등을 빚었다.[418][419] 이들의 갈등은 국가 운영에 악영향을 미쳤으며, 엘리자베스 1세는 자신의 주치의가 반역죄로 처형되는 것을 막지 못할 정도로 권위가 약화되었다.[420]
잉글랜드는 국왕이 의회의 동의 없이 독단적으로 재정을 확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엘리자베스는 전매 면허를 통한 무역에 의존하였다.[421] 이는 독점 상인들의 가격 담합을 불러왔고, 1601년 잉글랜드 하원은 가격 담합 폐단을 청원하기에 이르렀다.[422] 엘리자베스는 국가의 어려운 상황을 들어 감정에 호소하며 의원들을 설득했다.[423]
엘리자베스 1세는 늙어서도 젊고 아름다운 처녀 여왕으로 묘사되기를 원했으며, 문학 작품에서 자신을 처녀 요정으로 묘사하는 것을 흐뭇하게 여겼다.[424] 실제로는 노화 현상을 겪었지만, 초상화에서는 젊은 모습을 유지했다.[425]
총명함을 잃지 않았던 엘리자베스 1세는 에식스 백작 로버트 드베로를 편애하여 평정심을 잃은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428] 에식스 백작은 성급한 성격으로 전투에서 패하고 무단으로 귀국하는 잘못을 저질렀지만, 엘리자베스는 그를 가택 연금시키는 데 그쳤다.[429] 그러나 에식스 백작은 반란을 일으켰다가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엘리자베스는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430]
엘리자베스 1세는 후계자를 공식적으로 지명하지 않은 채, 로버트 세실은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6세와 비밀리에 후계 문제를 의논했다.[431] 결국 제임스 6세는 엘리자베스 1세의 후계자로 지명받았다.[431]
1603년 3월 24일, 엘리자베스 1세는 리치먼드 궁에서 사망했으며, 로버트 세실은 준비했던 왕위 계승을 발표하였다.[433] 엘리자베스 1세의 사망으로 엘리자베스 시대는 막을 내렸다.[434]
4. 유산
엘리자베스 1세는 튜더 왕조의 마지막 군주였다. 그녀가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튜더가는 대가 끊어졌고, 스튜어트가의 제임스 1세가 왕위를 계승하였다.[435] 잉글랜드인들은 오랫동안 앙숙이었던 스코틀랜드 왕가가 잉글랜드를 점령한 것으로 여겼고, 화약 음모 사건과 같은 음모는 이러한 반감을 보여주었다. 제임스 1세는 즉위 초 높은 지지를 받았으나, 의회와 갈등하면서 지지를 잃었고, 제임스 1세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엘리자베스 시대를 영광스러운 시기로, 가톨릭 동조자인 제임스 시기를 암울한 시기로 대비하곤 하였다.[435] 제임스 1세는 왕권신수설을 내세우며 왕권 강화를 시도하였는데, 이에 대비되어 엘리자베스 시대는 왕권, 교회, 의회가 균형을 이루었던 이상적인 시대로 부풀려졌다.[436]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 엘리자베스는 호국의 이미지로 다시 호출되었다.[437] 잔 다르크가 프랑스 국난 때마다 호명되듯이, 엘리자베스는 잉글랜드의 황금기로서 호출되어 빅토리아 시대에는 제국주의를 정당화하는 명분으로 사용되었고,[438] 20세기 세계 대전 시기에는 침략군으로부터 나라를 지키는 단결력의 상징으로 부각되었다.[439] 엘리자베스 1세는 거의 무결점의 위인으로 숭배되었지만, 20세기 후반 이후에는 보다 냉정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440] 이전 시대의 평가가 스페인 무적함대를 격파한 영광에 초점을 맞추었던 반면, 최근의 평가는 오랜 전쟁 기간 동안 나타난 여러 실정들도 함께 고려한다.[441]
엘리자베스 1세는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고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영국 교회를 설립했다.[222][223] 그녀를 프로테스탄트의 영웅으로 칭송한 후대 사람들은 그녀가 영국 교회 내 모든 가톨릭적 관행을 버리기를 거부했다는 사실을 간과했다.[224] 엘리자베스 시대의 엄격한 프로테스탄트들은 1559년 종교 조정 및 통일 법령을 타협으로 간주했다.[225][226] 엘리자베스는 신앙을 개인적인 것으로 여겼으며,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의 말처럼 "사람들의 마음과 비밀스러운 생각에 창문을 만들고 싶어하지 않았다".[227][228]
엘리자베스 1세는 대체로 방어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지만, 그녀의 통치는 잉글랜드의 국제적 지위를 향상시켰다. 식스투스 5세는 "그녀는 단지 여자이고, 단지 반도의 여주인일 뿐입니다."라고 말하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스페인, 프랑스, 제국, 모든 나라로부터 두려움을 받고 있습니다."라고 평가했다.[229] 엘리자베스 1세 치하에서 그리스도교 세계가 분열됨에 따라 잉글랜드는 새로운 자신감과 주권 의식을 얻었다.[211][230][231] 엘리자베스 1세는 인민의 동의에 따라 통치하는 군주임을 인정한 최초의 튜더 왕조였다.[232] 그녀는 의회와 자신에게 진실을 말해 줄 수 있는 조언자들과 협력했으며, 이는 스튜어트 왕조의 후계자들이 따르지 못한 통치 방식이었다. 일부 역사가들은 그녀가 운이 좋았다고 평가하기도 한다.[229] 그녀는 신이 자신을 보호하고 있다고 믿었으며,[233] "순수한 영국인"임을 자부하며,[234] 신, 정직한 조언, 백성의 사랑을 통치의 성공 요인으로 여겼다.[235]
4. 1. 평가
엘리자베스 1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튜더가는 대가 끊어졌고 스튜어트가의 제임스 1세가 뒤를 이었다. 잉글랜드 사람들 입장에서는 오랫동안 앙숙이었던 스코틀랜드의 왕가가 잉글랜드를 점령한 것으로 비추어지는 면이 있었고 실제 화약 음모 사건과 같은 음모가 이러한 반감을 보여주었다. 제임스 1세는 즉위 초 높은 지지를 받으며 기대를 모았으나 이후 의회와 갈등하면서 지지를 잃었고 제임스 1세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영광스러웠던 엘리자베스 시기와 가톨릭의 동조자인 제임스 시기를 대비하곤 하였다.[435] 제임스가 왕권신수설을 은연 중에 내비치며 왕권 강화를 시도하자 이에 대비되는 엘리자베스 시기는 왕권과 교회 및 의회가 균형을 이루었던 이상적인 시대로 부풀려졌다.[436]이후 잉글랜드의 역사에서 엘리자베스는 나폴레옹 전쟁을 맞아 호국의 이미지로 다시 호출되었다.[437] 엘리자베스는 이후로도 잉글랜드의 황금기로서 호출되어 빅토리아 시대에는 제국주의를 정당화 하는 명분으로 사용되었고[438] 20세기에 들어서도 세계 대전을 맞아 침략군으로부터 나라를 지키는 단결력의 상징으로 부각되었다.[439] 이로서 엘리자베스 1세는 거의 무과오의 위인으로 숭배되었지만, 20세기 후반 이후 조금 더 냉정한 평가가 시작되었다.[440] 특히 엘리자베스 1세에 대한 이전 시대의 평가가 스페인의 무적함대를 붕괴시킨 영광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었던 데 반하여, 최근의 평가는 이후 오랜 기간 이어진 전쟁 중에 보였던 여러 실정들도 함께 평가된다.[441]
엘리자베스는 많은 신하들에게 애도되었지만, 다른 이들은 그녀의 죽음에 안도했다.[210] 제임스 왕에 대한 기대는 처음에는 높았지만 그 후 감소했다. 1620년대에는 엘리자베스 숭배가 향수적으로 부활했다.[211] 엘리자베스는 프로테스탄트 운동의 여걸이자 황금기의 통치자로 칭송받았다. 제임스는 가톨릭에 동조하는 자로 묘사되었고, 부패한 궁정을 다스렸다.[212] 당파싸움과 군사적, 경제적 어려움을 배경으로 엘리자베스가 재위 말기에 만들어낸 승리주의적 이미지[213]는 그대로 받아들여졌고 그녀의 명성은 과장되었다.
17세기 초 엘리자베스의 프로테스탄트 숭배자들이 그린 엘리자베스의 이미지는 오래 지속되고 영향력이 있었다.[215] 그녀의 기억은 나폴레옹 전쟁 중에도 다시 되살아났는데, 당시 국가는 다시 침략 직전에 놓여 있었다.[216] 빅토리아 시대에는 엘리자베스 전설이 당시의 제국 이데올로기에 맞춰 각색되었고,[210] 20세기 중반에는 엘리자베스가 외세의 위협에 대한 국가적 저항의 낭만적인 상징이었다.[217]
20세기 중반에는 엘리자베스가 외세의 위협에 대한 국가적 저항의 낭만적인 상징이었다.[217] 그 시대의 역사가들, 예를 들어 J. E. 닐(J. E. Neale) (1934)과 A. L. 로우스(A. L. Rowse) (1950)는 엘리자베스의 통치를 진보의 황금기로 해석했다.[218]
그러나 최근 역사가들은 엘리자베스에 대해 더 복잡한 견해를 취하고 있다.[141] 그녀의 통치는 무적함대의 패배와 1587년과 1596년 카디스 습격과 같은 스페인에 대한 성공적인 습격으로 유명하지만, 일부 역사가들은 육지와 바다에서의 군사적 실패를 지적한다.[147] 아일랜드에서 엘리자베스의 군대는 궁극적으로 승리했지만, 그들의 전술은 그녀의 기록에 오점을 남겼다.[220] 스페인과 합스부르크 왕가에 맞선 프로테스탄트 국가의 용감한 수호자라기보다는, 그녀는 외교 정책에서 신중한 것으로 더 자주 여겨진다. 그녀는 외국 프로테스탄트에게 매우 제한적인 지원을 제공했고, 사령관들에게 해외에서 변화를 가져올 자금을 제공하지 못했다.[221]
엘리자베스는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고 오늘날에도 남아 있는 영국 교회를 설립했다.[222] 나중에 그녀를 프로테스탄트 여걸로 칭찬한 사람들은 그녀가 영국 교회에서 모든 가톨릭 기원의 관행을 버리기를 거부한 것을 간과했다.[224] 역사가들은 그녀 시대에 엄격한 프로테스탄트들이 1559년 조정 및 통일 법령을 타협으로 간주했다는 점을 지적한다.[225][226] 사실 엘리자베스는 신앙이 개인적인 것이라고 믿었고,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의 말처럼 "사람들의 마음과 비밀스러운 생각에 창문을 만들고 싶어하지 않았다".[227][228]
엘리자베스는 대체로 방어적인 외교 정책을 따랐지만, 그녀의 통치는 영국의 국제적 지위를 높였다. 식스투스 5세(Pope Sixtus V)는 "그녀는 단지 여자이고, 단지 반도의 여주인일 뿐입니다."라고 놀라워하며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스페인, 프랑스, 제국, 모든 나라로부터 두려움을 받고 있습니다."[229] 엘리자베스 치하에서 그리스도교 세계가 분열됨에 따라 국가는 새로운 자신감과 주권 의식을 얻었다.[211][230][231] 엘리자베스는 인민의 동의에 따라 통치하는 군주라는 것을 인정한 최초의 튜더 왕조였다.[232] 그녀는 항상 의회와 그녀에게 진실을 말해 줄 수 있는 조언자들과 협력했다. 이것은 그녀의 스튜어트 후계자들이 따르지 못한 통치 방식이다. 그녀는 신이 자신을 보호하고 있다고 믿었다.[233] "순수한 영국인"이라고 자부하는[234] 엘리자베스는 신, 정직한 조언, 백성의 사랑을 통치의 성공을 위한 믿음으로 삼았다.[235]
4. 1. 1. 긍정적 평가
엘리자베스 1세는 많은 신하들에게 애도되었지만, 다른 이들은 그녀의 죽음에 안도했다.[210] 제임스 1세에 대한 기대는 처음에는 높았지만 그 후 감소했다. 1620년대에는 엘리자베스 숭배가 향수적으로 부활했다.[211] 엘리자베스는 프로테스탄트 운동의 영웅이자 황금기의 통치자로 칭송받았다. 제임스 1세는 가톨릭에 동조하는 자로 묘사되었고, 부패한 궁정을 다스렸다.[212] 엘리자베스가 재위 말기에 만들어낸 승리주의적 이미지는[213] 그대로 받아들여졌고 그녀의 명성은 과장되었다. 글로스터 주교인 고드프리 굿맨(Godfrey Goodman)은 "우리가 스코틀랜드 정부를 경험했을 때, 여왕은 다시 살아나는 것 같았습니다. 그때 그녀의 기억은 매우 과장되었습니다."라고 회상했다.[214] 엘리자베스의 통치는 왕관, 교회, 의회가 헌법적 균형을 이루었던 시대 이상으로 여겨졌다.[214]
17세기 초 엘리자베스의 프로테스탄트 숭배자들이 그린 엘리자베스의 이미지는 오래 지속되고 영향력이 있었다.[215] 그녀의 기억은 나폴레옹 전쟁 중에도 다시 되살아났는데, 당시 국가는 다시 침략 직전에 놓여 있었다.[216] 빅토리아 시대에는 엘리자베스 전설이 당시의 제국 이데올로기에 맞춰 각색되었고,[210] 20세기 중반에는 엘리자베스가 외세의 위협에 대한 국가적 저항의 낭만적인 상징이었다.[217] 그 시대의 역사가들, 예를 들어 J. E. 닐(J. E. Neale) (1934)과 A. L. 로우스(A. L. Rowse) (1950)는 엘리자베스의 통치를 진보의 황금기로 해석했다.[218] 닐과 로우스는 여왕 자신을 이상화하기도 했다. 그녀는 항상 모든 것을 제대로 했고, 그녀의 불쾌한 특성은 무시되거나 스트레스의 징후로 설명되었다.[219]
최근 역사가들은 엘리자베스에 대해 더 복잡한 견해를 취하고 있다.[141] 그녀의 통치는 무적함대의 패배와 1587년과 1596년 카디스 습격과 같은 스페인에 대한 성공적인 습격으로 유명하지만, 일부 역사가들은 육지와 바다에서의 군사적 실패를 지적한다.[147] 아일랜드에서 엘리자베스의 군대는 궁극적으로 승리했지만, 그들의 전술은 그녀의 기록에 오점을 남겼다.[220] 스페인과 합스부르크 왕가에 맞선 프로테스탄트 국가의 용감한 수호자라기보다는, 그녀는 외교 정책에서 신중한 것으로 더 자주 여겨진다. 그녀는 외국 프로테스탄트에게 매우 제한적인 지원을 제공했고, 사령관들에게 해외에서 변화를 가져올 자금을 제공하지 못했다.[221]
엘리자베스는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고 오늘날에도 남아 있는 영국 교회를 설립했다.[222] 나중에 그녀를 프로테스탄트 영웅으로 칭찬한 사람들은 그녀가 영국 교회에서 모든 가톨릭 기원의 관행을 버리기를 거부한 것을 간과했다.[224] 역사가들은 그녀 시대에 엄격한 프로테스탄트들이 1559년 조정 및 통일 법령을 타협으로 간주했다는 점을 지적한다.[225][226] 사실 엘리자베스는 신앙이 개인적인 것이라고 믿었고,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의 말처럼 "사람들의 마음과 비밀스러운 생각에 창문을 만들고 싶어하지 않았다".[227][228]
엘리자베스는 대체로 방어적인 외교 정책을 따랐지만, 그녀의 통치는 영국의 국제적 지위를 높였다. 식스투스 5세(Pope Sixtus V)는 "그녀는 단지 여자이고, 단지 반도의 여주인일 뿐입니다."라고 놀라워하며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스페인, 프랑스, 제국, 모든 나라로부터 두려움을 받고 있습니다."[229] 엘리자베스 치하에서 그리스도교 세계가 분열됨에 따라 국가는 새로운 자신감과 주권 의식을 얻었다.[211][230][231] 엘리자베스는 인민의 동의에 따라 통치하는 군주라는 것을 인정한 최초의 튜더 왕조였다.[232] 그녀는 항상 의회와 그녀에게 진실을 말해 줄 수 있는 조언자들과 협력했다. 이것은 그녀의 스튜어트 후계자들이 따르지 못한 통치 방식이다. 일부 역사가들은 그녀가 운이 좋았다고 말한다.[229] 그녀는 신이 자신을 보호하고 있다고 믿었다.[233] "순수한 영국인"이라고 자부하는[234] 엘리자베스는 신, 정직한 조언, 백성의 사랑을 통치의 성공을 위한 믿음으로 삼았다.[235] 그녀는 기도에서 신에게 감사를 드렸다.
[전쟁과 폭동, 가혹한 박해가 나를 둘러싼 거의 모든 왕과 국가를 괴롭혔던 때에] 나의 통치는 평화로웠고, 나의 왕국은 당신의 고난받는 교회의 안식처였습니다. 나의 백성의 사랑은 굳건했고, 나의 원수들의 계략은 좌절되었습니다.[229]
4. 1. 2. 부정적 평가
엘리자베스 1세는 많은 신하들의 애도를 받았지만, 다른 이들은 그녀의 죽음에 안도했다.[210] 제임스 1세에 대한 기대는 처음에는 높았지만 그 후 감소했다. 1620년대에는 엘리자베스 숭배가 향수적으로 부활했다.[211] 엘리자베스는 프로테스탄트 운동의 영웅이자 황금기의 통치자로 칭송받았고, 제임스 1세는 가톨릭에 동조하는 자로 묘사되었고, 부패한 궁정을 다스렸다.[212]
17세기 초 엘리자베스 1세의 프로테스탄트 숭배자들이 그린 이미지는 오래 지속되었고 영향력이 있었다.[215] 그녀의 기억은 나폴레옹 전쟁 중에도 다시 되살아났는데, 당시 영국은 다시 침략 직전에 놓여 있었다.[216] 빅토리아 시대에는 엘리자베스 전설이 당시의 제국 이데올로기에 맞춰 각색되었다.[210] 20세기 중반에는 엘리자베스가 외세의 위협에 대한 국가적 저항의 낭만적인 상징이었다.[217]
그러나 최근 역사가들은 엘리자베스 1세에 대해 더 복잡한 견해를 취하고 있다.[141] 그녀의 통치는 무적함대의 패배와 1587년과 1596년 카디스 습격과 같은 스페인에 대한 성공적인 습격으로 유명하지만, 일부 역사가들은 육지와 바다에서의 군사적 실패를 지적한다.[147] 아일랜드에서 엘리자베스 1세의 군대는 궁극적으로 승리했지만, 그들의 전술은 그녀의 기록에 오점을 남겼다.[220] 스페인과 합스부르크 왕가에 맞선 프로테스탄트 국가의 용감한 수호자라기보다는, 그녀는 외교 정책에서 신중한 것으로 더 자주 여겨진다. 그녀는 외국 프로테스탄트에게 매우 제한적인 지원을 제공했고, 사령관들에게 해외에서 변화를 가져올 자금을 제공하지 못했다.[221]
엘리자베스 1세는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고 오늘날에도 남아 있는 영국 교회를 설립했다.[222][223] 나중에 그녀를 프로테스탄트 영웅으로 칭찬한 사람들은 그녀가 영국 교회에서 모든 가톨릭 기원의 관행을 버리기를 거부한 것을 간과했다.[224] 역사가들은 그녀 시대에 엄격한 프로테스탄트들이 1559년 조정 및 통일 법령을 타협으로 간주했다는 점을 지적한다.[225][226] 사실 엘리자베스 1세는 신앙이 개인적인 것이라고 믿었고,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의 말처럼 "사람들의 마음과 비밀스러운 생각에 창문을 만들고 싶어하지 않았다".[227][228]
엘리자베스 1세는 대체로 방어적인 외교 정책을 따랐지만, 그녀의 통치는 영국의 국제적 지위를 높였다. 식스투스 5세(Pope Sixtus V)는 "그녀는 단지 여자이고, 단지 반도의 여주인일 뿐입니다."라고 놀라워하며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스페인, 프랑스, 제국, 모든 나라로부터 두려움을 받고 있습니다."[229] 엘리자베스 1세 치하에서 그리스도교 세계가 분열됨에 따라 국가는 새로운 자신감과 주권 의식을 얻었다.[211][230][231]
4. 2. 한국의 관점
엘리자베스 1세는 후사 없이 사망하여 튜더가는 대가 끊어졌고, 스튜어트가의 제임스 1세가 왕위를 계승하였다.[435] 잉글랜드인들은 오랫동안 앙숙이었던 스코틀랜드 왕가가 잉글랜드를 점령한 것으로 여겼고, 화약 음모 사건과 같은 음모는 이러한 반감을 보여주었다. 제임스 1세는 즉위 초 높은 지지를 받았으나, 의회와 갈등하면서 지지를 잃었고, 제임스 1세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엘리자베스 시대를 영광스러운 시기로, 가톨릭 동조자인 제임스 시기를 암울한 시기로 대비하곤 하였다.[435] 제임스 1세는 왕권신수설을 내세우며 왕권 강화를 시도하였는데, 이에 대비되어 엘리자베스 시대는 왕권, 교회, 의회가 균형을 이루었던 이상적인 시대로 부풀려졌다.[436]나폴레옹 전쟁 시기에 엘리자베스는 호국의 이미지로 다시 호출되었다.[437] 잔 다르크가 프랑스 국난 때마다 호명되듯이, 엘리자베스는 잉글랜드의 황금기로서 호출되어 빅토리아 시대에는 제국주의를 정당화하는 명분으로 사용되었고,[438] 20세기 세계 대전 시기에는 침략군으로부터 나라를 지키는 단결력의 상징으로 부각되었다.[439] 엘리자베스 1세는 거의 무결점의 위인으로 숭배되었지만, 20세기 후반 이후에는 보다 냉정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440] 이전 시대의 평가가 스페인 무적함대를 격파한 영광에 초점을 맞추었던 반면, 최근의 평가는 오랜 전쟁 기간 동안 나타난 여러 실정들도 함께 고려한다.[441]
엘리자베스 1세는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고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영국 교회를 설립했다.[222][223] 그녀를 프로테스탄트의 영웅으로 칭송한 후대 사람들은 그녀가 영국 교회 내 모든 가톨릭적 관행을 버리기를 거부했다는 사실을 간과했다.[224] 엘리자베스 시대의 엄격한 프로테스탄트들은 1559년 종교 조정 및 통일 법령을 타협으로 간주했다.[225][226] 엘리자베스는 신앙을 개인적인 것으로 여겼으며,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의 말처럼 "사람들의 마음과 비밀스러운 생각에 창문을 만들고 싶어하지 않았다".[227][228]
엘리자베스 1세는 대체로 방어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지만, 그녀의 통치는 잉글랜드의 국제적 지위를 향상시켰다. 식스투스 5세는 "그녀는 단지 여자이고, 단지 반도의 여주인일 뿐입니다."라고 말하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스페인, 프랑스, 제국, 모든 나라로부터 두려움을 받고 있습니다."라고 평가했다.[229] 엘리자베스 1세 치하에서 그리스도교 세계가 분열됨에 따라 잉글랜드는 새로운 자신감과 주권 의식을 얻었다.[211][230][231] 엘리자베스 1세는 인민의 동의에 따라 통치하는 군주임을 인정한 최초의 튜더 왕조였다.[232] 그녀는 의회와 자신에게 진실을 말해 줄 수 있는 조언자들과 협력했으며, 이는 스튜어트 왕조의 후계자들이 따르지 못한 통치 방식이었다. 일부 역사가들은 그녀가 운이 좋았다고 평가하기도 한다.[229] 그녀는 신이 자신을 보호하고 있다고 믿었으며,[233] "순수한 영국인"임을 자부하며,[234] 신, 정직한 조언, 백성의 사랑을 통치의 성공 요인으로 여겼다.[235]
5. 추가 자료
엘리자베스 1세와 관련된 서적, 논문, 영화, 드라마 등은 다음과 같다.
- 찰스 빔의 《엘리자베스 1세의 대외 관계》(2011)는 엘리자베스 1세 시대의 외교 정책을 다룬다.
- 수잔 브리젠의 《새로운 세계, 잃어버린 세계: 튜더 왕조의 통치, 1485-1603》(2001)은 튜더 왕조 시대를 개괄한다.
- 제인 던의 ''엘리자베스와 메리: 사촌, 라이벌, 여왕들'' (2003)은 엘리자베스 1세와 메리 스튜어트의 관계를 다룬다.
- J. P. 호지스의 ''사자의 본성: 엘리자베스 1세와 우리의 성공회 유산'' (1962)은 엘리자베스 1세와 성공회 유산의 관계를 탐구한다.
- 노먼 존스의 ''엘리자베스 시대의 탄생: 1560년대 잉글랜드'' (1993)는 1560년대 잉글랜드의 상황을 분석한다.
- 월리스 T. 맥카프리의 《엘리자베스 1세》(1993)는 엘리자베스 1세의 정치적 생애를 요약한 전기이다. 그는 다음의 저서도 출간했다.
- * 《엘리자베스 체제의 형성: 엘리자베스 시대 정치, 1558-1572》(1969)
- * 《엘리자베스 여왕과 정책 수립, 1572-1588》(1988)
- * 《엘리자베스 1세: 전쟁과 정치, 1588-1603》(1994)
- A. N. 맥라렌의 《엘리자베스 1세 치하의 정치 문화: 여왕과 연방, 1558-1585》(1999)는 엘리자베스 1세 시대의 정치 문화를 분석한다.
- D. M. 팔리저의 ''엘리자베스 시대: 튜더 왕조 후기 잉글랜드, 1547-1603'' (1983)은 튜더 왕조 후기 잉글랜드의 사회, 경제사를 개괄한다.
- 에스텔 파랑크의 ''피, 불 그리고 황금: 엘리자베스 1세와 카트린 드 메디시스의 이야기'' (2022)는 두 여왕의 관계를 다룬다.
- 앨버트 폴라드의 ''엘리자베스 1세''는 1911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기고된 글이다.
- 재스퍼 리들리의 ''엘리자베스 1세: 미덕의 기지'' (1989)는 엘리자베스 1세의 통치 방식을 분석한다.
- R. B. 워넘의 ''무적함대 이전: 영국 외교 정책의 성장, 1485-1588'' (1966)은 엘리자베스 1세 이전의 영국 외교 정책을 다룬다.
- 애나 화이트록의 ''엘리자베스의 침실 동료들: 여왕의 궁정에 대한 친밀한 역사'' (2013)는 엘리자베스 1세의 궁정 생활을 다룬다.
- ''엘리자베스 1세: 전집'' (2002)은 엘리자베스 1세의 저작들을 모은 책이다.
- 수전 M. 펠치 편집의 ''엘리자베스 1세와 그녀의 시대'' (2009)는 1차 및 2차 자료를 엮은 책으로, 문학에 중점을 둔다.
- 윌리엄 캠던의 ''가장 유명하고 승리한 여왕 엘리자베스의 역사''는 1970년에 일부 챕터가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되었다.
- 윌리엄 캠던의 ''영국과 아일랜드의 역사 편년(엘리자베스 여왕 재위 시대)'' (1615, 1625)는 하이퍼텍스트판으로 영어 번역본과 함께 제공된다.
- 존 클랩험의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는 1951년에 출판되었다.
- 에릭 조세프 칼슨의 "영화를 통한 엘리자베스 튜더 교육: 영화, 역사적 사고, 그리고 교실" (2007)은 영화를 통해 엘리자베스 1세를 교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패트릭 콜린슨의 "엘리자베스 1세와 역사의 평결" (2003)은 엘리자베스 1세에 대한 역사적 평가를 다룬다.
- 마이클 돕슨과 니콜라 제인 왓슨의 ''엘리자베스의 유산'' (2002)은 엘리자베스 1세의 유산과 영향을 탐구한다.
- 수잔 도런과 토마스 S. 프리먼 편집의 ''엘리자베스의 신화'' (2003)는 엘리자베스 1세에 대한 신화적 요소들을 분석한다.
- 조엘 엡스타인의 ''음악에 대한 사랑의 에피소드'' (2022)는 엘리자베스 1세를 "음악의 여왕"으로 묘사한다.
- 리처드 L. 그리브스 편집의 ''엘리자베스 1세, 잉글랜드 여왕'' (1974)은 역사가들의 발췌문을 모은 책이다.
- 크리스토퍼 헤이 편집의 ''엘리자베스 1세의 통치'' (1984)는 학자들의 에세이를 엮은 책이다.
- 모리스 하워드의 "엘리자베스 1세: 돌, 인쇄물, 그림 속 장소 감각" (2004)은 엘리자베스 1세와 관련된 장소, 예술 작품 등을 분석한다.
- 해롤드 흄의 "엘리자베스 1세와 그녀의 의회: 존 닐 경의 업적" (1958)은 엘리자베스 1세와 의회의 관계를 다룬다.
- 루이 몬트로즈의 ''엘리자베스의 주제: 권위, 젠더, 재현'' (2006)은 엘리자베스 1세 시대의 권력, 젠더 등을 분석한다.
- A. L. 로즈의 "엘리자베스 여왕과 역사가들" (1953)은 엘리자베스 1세에 대한 역사가들의 관점을 다룬다.
- 존 왓킨스의 ''스튜어트 시대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재현: 문학, 역사, 주권'' (2002)은 스튜어트 시대에 엘리자베스 1세가 어떻게 묘사되었는지 분석한다.
- D. R. 울프의 "두 명의 엘리자베스? 제임스 1세와 여왕의 유명한 기억" (1985)은 제임스 1세 시대에 엘리자베스 1세가 어떻게 기억되었는지 다룬다.
- 사이먼 애덤스의 《레스터와 궁정: 엘리자베스 시대 정치에 관한 에세이》(2002)
- J. B. 블랙의 《엘리자베스 여왕의 통치: 1558–1603》(1945)
- 프레데릭 체임벌린의 《엘리자베스와 레스터》(1939)
- 패트릭 콜린슨의 《엘리자베스 1세》(2007)
- 패트릭 콜린슨의 《엘리자베스 1세 (1533–1603)》(2008)
- 폴린 크로프트의 《제임스 왕》(2003)
- 시릴 대번포트의 《영국 자수 장정》(1899)
- 수잔 도런의 《군주제와 결혼: 엘리자베스 1세의 구혼》(1996)
- 수잔 도런 편집의 《엘리자베스: 국립 해양 박물관 전시》(2003)
- 수잔 도런의 《여왕의 구혼자들과 계승 문제》(2003)
- 수잔 도런의 《엘리자베스 1세 여왕》(2003)
- 필립 에드워즈의 《근대 영국 국가의 형성: 1460–1660》(2004)
- 시안 플린과 데이비드 스펜스의 《엘리자베스의 모험가들》(2003)
- 레오니 프리다의 《카트린 드 메디시스》(2005)
- 존 가이의 《내 마음은 나의 것: 메리 스튜어트 여왕의 삶》(2004)
- 크리스토퍼 헤이의 《엘리자베스 1세》(2000)
- P. E. J. 해머의 《엘리자베스 시대 정치의 양극화: 로버트 드베뢰, 에식스 백작 2세의 정치 경력, 1585–1597》(1999)
- 앨런 헤인즈의 《흰 곰: 엘리자베스 시대 레스터 백작》(1987)
- 앨리스 호지의 《하나님의 비밀 요원들: 엘리자베스 여왕의 금지된 사제들과 건파우더 음모의 시작》(2005)
- 엘리자베스 젠킨스의 《위대한 엘리자베스》(1967)
- 엘리자베스 젠킨스의 《엘리자베스와 레스터》(2002)
- 어니스트 하트윅 칸토로비츠의 《왕의 두 몸: 중세 정치 신학 연구》(1997)
- 존 P. 케니언의 《역사가들: 르네상스 이후 영국의 역사 전문직》(1983)
- 카렌 오달 쿠퍼먼의 《제임스타운 프로젝트》(2007)
- 로버트 레이시의 《로버트 에식스 백작: 엘리자베스 시대의 이카루스》(1971)
- 데이비드 로즈의 《엘리자베스 1세: 글로리아나의 황금 시대》(2003)
- 패트릭 맥그래스의 《엘리자베스 1세 시대의 가톨릭교도와 청교도》(1967)
- J. E. 닐의 《엘리자베스 1세 여왕: 전기》(1954)
- 제프리 파커의 《필립 2세의 대전략》(2000)
- A. L. 로스의 《엘리자베스 시대의 영국》(1950)
- 크리스 스키드모어의 《죽음과 처녀: 엘리자베스, 더들리, 그리고 에이미 로브사트의 신비로운 운명》(2010)
- 앤 서머셋의 《엘리자베스 1세》(2003)
- 데이비드 스타키의 《엘리자베스: 수습 시절》(2001)
- 데이비드 스타키의 《엘리자베스: 여성, 군주, 사명》(2003)
- 로이 C. 스트롱과 J. A. van Dorsten의 《레스터의 승리》(1964)
- 로이 스트롱의 《글로리아나: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의 초상화》(2003)
- 앨리슨 위어의 《헨리 8세의 자녀들》(1997)
- 앨리슨 위어의 《엘리자베스 여왕》(1999)
- 네빌 윌리엄스의 《토마스 하워드, 노퍽 공작 4세》(1964)
- 네빌 윌리엄스의 《엘리자베스 1세의 삶과 시대》(1972)
- 데이비드 해리스 윌슨의 《제임스 6세 & 1세 왕》(1963)
- 데릭 윌슨의 《달콤한 로빈: 레스터 백작 로버트 더들리의 전기 1533–1588》(1981)
- 제니퍼 우드워드의 《죽음의 극장: 르네상스 영국 왕실 장례식의 의례적 관리, 1570–1625》(1997)
- 엘리자베스 1세, ''엘리자베스 1세: 전집''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2002)
- 수전 M. 펠치 편집, ''엘리자베스 1세와 그녀의 시대'' (노턴 비평판)(2009)
- 윌리엄 캠던, ''가장 유명하고 승리한 공주 엘리자베스의 역사''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1970년판)
- 존 클랩험,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출판부, 1951)
- ''엘리자베스: 국립 해양 박물관 전시'' (채토 앤드 윈더스, 2003)
- 재스퍼 리들리, ''엘리자베스 1세: 미덕의 기지'' (프롬 인터내셔널, 1989)
영화 및 드라마:
- ''여왕 엘리자베스'' (1912년/프랑스)
- ''메리 스튜어트'' (1936년/미국)
- ''무적함대'' (1937년/영국)
- ''여왕 엘리자베스'' (1939년/미국)
- ''비련의 왕녀 엘리자베스'' (1953년/미국)
- ''버진 퀸'' (1955년/미국)
- ''퀸 메리/사랑과 슬픔의 생애'' (1971년/영국)
- ''엘리자베스'' (1998년/영국)
- ''셰익스피어 인 러브'' (1998년/미국)
- ''엘리자베스: 황금 시대'' (2007년/영국·프랑스)
- ''두 명의 여왕 메리와 엘리자베스'' (2018년/미국·영국)
- ''엘리자베스 R'' (1971년/영국/미니시리즈)
- ''엘리자베스 1세 ~사랑과 음모의 궁정~'' (2005년/영국·미국/미니시리즈)
희곡 및 오페라:
- 프리드리히 실러의 『마리아 스튜어트』
- 조아키노 로시니의 『엘리자베타 영국 여왕』
- 가에타노 도니체티의 『마리아 스투아르다』
- 가에타노 도니체티의 『로베르토 데브뢰』
- 벤자민 브리튼의 『글로리아나』
기타:
- 레디 베스 (2014년/2017년)/일본
- 하시나 시오리의 『왕녀 리즈―튜더 왕조의 푸른 눈동자』 (1996)
- 고자키 아이의 『세실의 여왕』
- 비케의 『왕국의 아이』
- 『문명 (비디오 게임) 시리즈』 시리즈
- 릿턴 스트레이치의 『엘리자베스와 에식스: 왕관과 사랑』
- 이케다 리요코, 미야모토 에리카의 『여왕 엘리자베스』
- 이시이 미키코 감수의 『엘리자베스 여왕』 (학습만화 인물관)
- 이디스 시트웰의 『엘리자베스 전주곡: 영국 왕실 이면사』
- 우에무라 마사히코의 『엘리자베스 1세: 르네상스기의 여왕』
- 프랜시스 A. 예이츠의 『별의 처녀신 엘리자베스 여왕: 16세기 제국의 주제』
- 유사 아키히로의 『영국 종교개혁의 빛과 그림자: 메리와 엘리자베스의 시대』
- 고바야시 아키오의 『여왕, 엘리자베스의 치세: 선진국의 왕정기』
- 진 플레이디의 ''이 나라의 여왕''
- 윌리엄 캠던의 ''가장 유명하고 승리한 공주 엘리자베스의 역사''
- 존 클랩험의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 ''엘리자베스 1세: 완전 작품집''
- ''엘리자베스: 국립 해양 박물관 전시''
- 재스퍼 리들리의 ''엘리자베스 1세: 미덕의 기지''
참조
[1]
서적
Elizabeth's first speech as queen
Loades
1558-11-20
[2]
웹사이트
House of Tudor {{!}} History, Monarchs, & Facts
https://www.britanni[...]
2021-08-31
[3]
서적
Elizabeth: Woman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Correspondence of Edward, Third Earl of Derby, During the Years 24 to 31 Henry VIII.: Preserved in a Ms. in the Possession of Miss Pfarington, of Worden Hall
Chetham Society
1890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957
[14]
서적
[15]
뉴스
Book of translations reveals intellectualism of England's powerful Queen Elizabeth I
http://chronicle.uch[...]
University of Chicago Chronicle
2020-01-09
[16]
뉴스
Mystery author of forgotten Tacitus translation turns out to be Elizabeth I
https://www.newsweek[...]
2019-11-29
[17]
뉴스
Elizabeth I revealed as the translator of Tacitus into English
https://uk.reuters.c[...]
Reuters
2019-11-29
[18]
서적
[19]
서적
[20]
웹사이트
Venice: April 1603
http://www.british-h[...]
1603-04
[21]
서적
West Britons, Cornish Identities and the Early Modern British State
University of Exeter Press
2002
[22]
서적
[23]
서적
Elizabeth: Apprenticeship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Elizabeth
[28]
서적
[29]
웹사이트
Thomas Seymour, Baron Seymour {{!}} English admiral
https://www.britanni[...]
2020-01-22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null
[37]
서적
null
[38]
서적
null
[39]
서적
null
[40]
서적
null
[41]
서적
null
[42]
웹사이트
BBC – History – Elizabeth I: An Overview
http://www.bbc.co.uk[...]
2020-11-15
[43]
서적
null
[44]
서적
null
[45]
웹아카이브
The "Festival Book" account, from the British Library
http://special-1.bl.[...]
British Library
[46]
웹사이트
John Dee and the English Calendar: Science, Religion and Empire
http://www.history.a[...]
Institute of Historical Research
2005-09-06
[47]
학술지
John Dee and Early Modern Occult Philosophy
2004
[48]
서적
null
[49]
서적
null
[50]
웹사이트
Queen Elizabeth I: The Pelican Portrait, called Nicholas Hilliard (c. 1573)
http://www.liverpool[...]
National Museums Liverpool
1998-07-29
[51]
ODNB
Elizabeth I (1533–1603)
2008
[52]
서적
This Sceptred Isle 1547–1660
1998
[53]
서적
null
[54]
서적
null
[55]
서적
null
[56]
서적
null
[57]
서적
null
[58]
서적
null
[59]
서적
null
[60]
학술지
Why Elizabeth I Never Married
2010-09
[61]
서적
null
[62]
서적
null
[63]
서적
null
[64]
서적
null
[65]
서적
null
[66]
서적
Monarchy
[67]
서적
null
[68]
서적
null
[69]
서적
Monarchy
[70]
서적
Monarchy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Queen Elizabeth I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Elizabeth the Great
Victor Gollancz
1959
[77]
서적
Vasadöttrarna
Historiska media
2010
[78]
서적
The Early Vasas: A History of Sweden, 1523–1611
Cambridge
1968
[79]
서적
Denmark, 1513–1660: the rise and decline of a Renaissance monarchy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80]
학술지
Elizabeth I's Former Tutor Reports on the Parliament of 1559: Johannes Spithovius to the Chancellor of Denmark, 27 February 1559
2013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웹사이트
Let Definition & Meaning
https://www.merriam-[...]
2023-07-19
[86]
서적
Monarchy
[87]
서적
[88]
서적
[89]
학술지
Queen Elizabeth I: Representations of the Virgin Queen
1990
[90]
서적
[91]
학술지
Juno versus Diana: The Treatment of Elizabeth I's Marriage in Plays and Entertainments, 1561–1581
1995
[92]
서적
[93]
웹사이트
Elizabeth I Was Likely Anything But a Virgin Queen
https://www.realclea[...]
2019-02-04
[94]
서적
Elizabeth and Leicester
https://books.google[...]
Penguin
2008
[95]
웹사이트
Robert Dudley: Queen Elizabeth I's great love
https://www.historye[...]
[96]
서적
Famous Past Lives
John Hunt
2011
[97]
서적
The Heart and Stomach of a King: Elizabeth I and the Politics of Sex and Power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4
[98]
웹사이트
British History Online: Simancas: June 1587, 16-30
https://www.british-[...]
[99]
학술지
All the Queen's Children: Elizabeth I and the Meanings of Motherhood
https://brill.com/vi[...]
2004-12-02
[100]
서적
Constructing a World: Shakespeare's England and the New Historical Fic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3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Loades
[107]
논문
Dudley, Robert, earl of Leicester (1532/3–1588)
2008
[108]
서신
Letter to Mary, Queen of Scots
1567-06-23
[109]
서적
Loades
[110]
서적
Loades
[111]
서적
Norfolk
[112]
서적
McGrath
[113]
서적
Collinson
[114]
서적
Collinson
[115]
서적
Collinson
[116]
서적
Guy
[117]
서적
Loades
[118]
서적
Guy
[119]
서적
Frieda
[120]
서적
Loades
[121]
서적
Flynn and Spence
[122]
서적
Somerset
[123]
서적
Haigh
[124]
서적
Strong and van Dorsten
[125]
서적
Strong and van Dorsten
[126]
서적
Strong and van Dorsten
[127]
서적
Strong and van Dorsten
[128]
서신
Letter to Robert Dudley, Earl of Leicester
1586-02-10
[129]
서적
Chamberlin
[130]
서적
Parker
[131]
서적
Haynes
[132]
서적
Wilson
[133]
서적
Parker
[134]
서적
Haigh
[135]
서적
Loades
[136]
서적
Black
[137]
서적
Neale
[138]
서적
Somerset
[139]
서적
Black
[140]
서적
Haigh
[141]
서적
null
[142]
서적
null
[143]
서적
Early modern England 1485–1714: a narrative history
John Wiley and Sons
2009
[144]
서적
Francis Drake, privateer: contemporary narratives and documents
Taylor & Francis
1972
[145]
서적
Armada Española desde la Unión de los Reinos de Castilla y Aragón
Museo Naval de Madrid, Instituto de Historia y Cultura Naval
1972
[146]
서적
La Europa dividida (1559–1598)
Editorial Critica
2002
[147]
서적
null
[148]
서적
null
[149]
서적
null
[150]
서적
null
[151]
서적
null
[152]
서적
null
[153]
서적
null
[154]
서적
null
[155]
서적
null
[156]
서적
A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Early Modern Englishwomen: Exemplary Lives and Memorable Acts, 1500-1650
Taylor and Francis
2016
[157]
서적
Early Voyages and Travels to Russia and Persia by Anthony Jenkinson and other Englishme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9-02-03
[158]
서적
Russia and Britain
Collins
[159]
서적
Performing Blackness on English Stages, 1500–18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0-22
[160]
서적
Shakespeare Survey With Index 1–1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0-22
[161]
서적
Speaking of the Moo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20-10-22
[162]
웹사이트
Mimsy.bham.ac.uk
http://mimsy.bham.ac[...]
2009-02-28
[163]
웹사이트
East-West: Objects between cultures
http://www.tate.org.[...]
2013-12-26
[164]
서적
null
[165]
서적
null
[166]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by Peter N. Stearns
https://books.google[...]
2010-05-02
[167]
서적
null
[168]
서적
null
[169]
서적
United States History
McGraw-Hill
2016
[170]
서적
England's Quest of Eastern Trade
A. & C. Black
1998
[171]
서적
null
[172]
서적
null
[173]
서적
null
[174]
서적
null
[175]
review no. 334
The Changing Reputations of Elizabeth I and James VI & I
http://www.history.a[...]
2017-07-19
[176]
서적
null
[177]
서적
null
[178]
서적
Monarchy
[179]
서적
null
[180]
서적
null
[181]
서적
null
[182]
서적
null
[183]
서적
null
[184]
서적
Elizabeth
[185]
서적
null
[186]
서적
null
[187]
서적
null
[188]
서적
null
[189]
서적
null
[190]
서적
null
[191]
웹사이트
The best books on Elizabeth I – a Five Books interview with Helen Hackett
https://fivebooks.co[...]
[192]
서적
null
[193]
뉴스
The Tudors had bad teeth? What rot!
https://web.archive.[...]
The Daily Telegraph
2015-01-18
[194]
서적
a journal of all that was accomplished by Monsieur De Maisse, ambassador in England from King Henri IV to Queen Elizabeth, anno domini 1597
Nonesuch Press
[195]
서적
null
[196]
서적
null
[197]
서적
null
[198]
서적
null
[199]
서적
null
[200]
서적
null
[201]
서적
null
[202]
서적
null
[203]
서적
null
[204]
서적
null
[205]
서적
null
[206]
서적
1603: The Death of Queen Elizabeth, the Return of the Black Plague, the Rise of Shakespeare, Piracy, Witchcraft and the Birth of the Stuart Era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2004
[207]
서적
Anne Clifford's Autobiographical Writing, 1590-1676
null
2018
[208]
서적
Historical memorials of Westminster Abbey
https://archive.org/[...]
John Murray
1868
[209]
서적
null
[210]
서적
null
[211]
서적
[212]
서적
[213]
서적
[214]
서적
[215]
서적
[216]
서적
[217]
서적
[218]
서적
[219]
서적
[220]
서적
[221]
서적
[222]
서적
[223]
서적
[224]
서적
[225]
서적
[226]
서적
[227]
서적
[228]
서적
[229]
서적
[230]
서적
[231]
서적
[232]
서적
[233]
서적
[234]
서적
[235]
서적
[236]
웹사이트
Elizabeth I {{!}} Biography, Facts, Mother, & Death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08
[237]
서적
History of the United Netherlands
[238]
웹사이트
Lady Jane Grey
http://www.royal.gov[...]
The British Monarchy - Official Website
2009-04-23
[239]
웹사이트
Mary I
http://www.royal.gov[...]
The British Monarchy - Official Website
2009-04-23
[240]
웹사이트
Renaissance festival books: View 274 historical Renaissance books online
https://www.bl.uk/tr[...]
2023-04-05
[241]
서적
This Sceptred Isle 1547-1660
1995, 1998
[242]
서적
[243]
서적
[244]
서적
[245]
서적
[246]
웹사이트
Dudley, Robert, earl of Leicester (1532/3–1588), courtier and magnate
https://www.oxforddn[...]
2023-04-06
[247]
서적
The student's modern Europe, a history, 1453 to 1878
London
[248]
서적
世界史をつくった海賊
筑摩書房
[249]
서적
Strong and van Dorsten
[250]
서적
Strong and van Dorsten
[251]
서적
Strong and van Dorsten
[252]
서적
Chamberlin
[253]
서적
石井(2009)
[254]
서적
Parker
[255]
서적
Haynes, Strong and van Dorsten
[256]
서적
Neale (1934), Somerset (2003)
[257]
웹사이트
Portrait of the Moroccan Ambassador to Queen Elizabeth I
https://www.bl.uk/co[...]
British Library
2023-06-27
[258]
서적
Adams (2002), Hammer (1999), Collinson (2007)
[259]
서적
Willson
[260]
서적
The Law of Succession to the Crown in New Zealand
http://www.austlii.e[...]
Waikato Law Review
[261]
서적
Willson
[262]
서적
Strong
[263]
서적
Haigh
[264]
서적
Black
[265]
서적
Haigh
[266]
웹사이트
Civilization: Same Leaders in every Civ Game - Cutscenes Evolve
https://www.youtube.[...]
2023-04-08
[267]
기타
[268]
기타
[269]
웹사이트
House of Tudor {{!}} History, Monarchs, & Facts
https://www.britanni[...]
2021-08-31
[270]
서적
Elizabeth: Woman
[271]
서적
Neale
[272]
서적
Elizabeth: Woman
[273]
서적
Somerset
[274]
서적
Loades
[275]
서적
Somerset
[276]
서적
Correspondence of Edward, Third Earl of Derby, During the Years 24 to 31 Henry VIII.: Preserved in a Ms. in the Possession of Miss Pfarington, of Worden Hall
Chetham Society
1890
[277]
서적
Loades
[278]
서적
Loades
[279]
서적
Somerset, Jenkins (1957)
[280]
서적
Loades
[281]
뉴스
Book of translations reveals intellectualism of England's powerful Queen Elizabeth I
http://chronicle.uch[...]
University of Chicago Chronicle
2020-01-09
[282]
웹사이트
Mystery author of forgotten Tacitus translation turns out to be Elizabeth I
https://www.newsweek[...]
2020-01-09
[283]
뉴스
Book of translations reveals intellectualism of England's powerful Queen Elizabeth I
http://chronicle.uch[...]
University of Chicago Chronicle
2020-01-09
[284]
뉴스
Elizabeth I revealed as the translator of Tacitus into English
https://uk.reuters.c[...]
Reuters
2020-01-09
[285]
서적 #추정
#정보부족
[286]
간행물
Venice: April 1603
http://www.british-h[...]
Calendar of State Papers Relating to English Affairs in the Archives of Venice
2012-03-22
[287]
서적 #추정
#정보부족
[288]
서적 #추정
Elizabeth: Apprenticeship
[289]
서적 #추정
#정보부족
[290]
서적 #추정
#정보부족
[291]
서적 #추정
#정보부족
[292]
서적 #추정
Elizabeth
[293]
서적 #추정
#정보부족
[294]
웹사이트
Thomas Seymour, Baron Seymour English admiral
https://www.britanni[...]
2020-01-22
[295]
서적 #추정
#정보부족
[296]
서적 #추정
#정보부족
[297]
서적 #추정
#정보부족
[298]
서적 #추정
#정보부족
[299]
서적 #추정
#정보부족
[300]
서적 #추정
#정보부족
[301]
서적 #추정
#정보부족
[302]
서적 #추정
#정보부족
[303]
서적 #추정
#정보부족
[304]
웹사이트
BBC – History – Elizabeth I: An Overview
http://www.bbc.co.uk[...]
2020-11-15
[305]
서적 #추정
#정보부족
[306]
서적 #추정
#정보부족
[307]
웹사이트
The "Festival Book" account, from the British Library
http://special-1.bl.[...]
[308]
웹사이트
John Dee and the English Calendar: Science, Religion and Empire
http://www.history.a[...]
Institute of Historical Research
2006-10-26
[309]
저널
John Dee and Early Modern Occult Philosophy
2004
[310]
서적 #추정
#정보부족
[311]
ODNB
Elizabeth I (1533–1603)
2008
[312]
서적 #추정
#정보부족
[313]
서적
This Sceptred Isle 1547–1660
1998
[314]
서적 #추정
#정보부족
[315]
서적 #추정
#정보부족
[316]
서적
[317]
서적
[318]
저널
Why Elizabeth I Never Married
2010-09-01
[319]
서적
[320]
서적
[321]
서적
[322]
서적
[323]
서적
[324]
서적
Monarchy
[325]
서적
Monarchy
[326]
서적
[327]
서적
[328]
서적
Queen Elizabeth I
[329]
서적
[330]
서적
[331]
서적
Elizabeth the Great
https://archive.org/[...]
Victor Gollancz
1959
[332]
서적
Vasadöttrarna
Historiska media
2010
[333]
서적
The Early Vasas: A History of Sweden, 1523–1611
Cambridge
1968
[334]
저널
Elizabeth I's Former Tutor Reports on the Parliament of 1559: Johannes Spithovius to the Chancellor of Denmark, 27 February 1559
2013
[335]
서적
Denmark, 1513–1660: the rise and decline of a Renaissance monarchy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336]
저널
Elizabeth I's Former Tutor Reports on the Parliament of 1559: Johannes Spithovius to the Chancellor of Denmark, 27 February 1559
2013
[337]
서적
[338]
서적
[339]
서적
[340]
서적
[341]
서적
[342]
서적
[343]
저널
Queen Elizabeth I: Representations of the Virgin Queen
1990
[344]
서적
[345]
저널
Juno versus Diana: The Treatment of Elizabeth I's Marriage in Plays and Entertainments, 1561–1581
1995
[346]
서적
[347]
웹사이트
Elizabeth I Was Likely Anything But a Virgin Queen
https://www.realclea[...]
2019-02-04
[348]
서적
Elizabeth and Leicester
https://books.google[...]
Penguin
[349]
웹사이트
Robert Dudley: Queen Elizabeth I's great love
https://www.historye[...]
[350]
서적
Famous Past Lives
John Hunt
2011
[351]
웹인용
British History Online: Simancas: June 1587, 16-30
https://www.british-[...]
2020-08-01
[352]
웹인용
British History Online: Simancas: June 1587, 16-30
https://www.british-[...]
2020-08-01
[353]
저널
All the Queen's Children: Elizabeth I and the Meanings of Motherhood
https://brill.com/vi[...]
2004-12-02
[354]
서적
The Heart and Stomach of a King: Elizabeth I and the Politics of Sex and Power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4
[355]
저널
All the Queen's Children: Elizabeth I and the Meanings of Motherhood
https://brill.com/vi[...]
2004-12-02
[356]
웹인용
British History Online: Simancas: June 1587, 16-30
https://www.british-[...]
2020-08-01
[357]
저널
All the Queen's Children: Elizabeth I and the Meanings of Motherhood
https://brill.com/vi[...]
2004-12-02
[358]
서적
Constructing a World: Shakespeare's England and the New Historical Fic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3
[359]
서적
(출처 불명)
[360]
서적
(출처 불명)
[361]
서적
(출처 불명)
[362]
ODNB
Dudley, Robert, earl of Leicester (1532/3–1588)
2008
[363]
서적
Letter to Mary, Queen of Scots, 23 June 1567
[364]
서적
(출처 불명)
[365]
서적
(출처 불명)
[366]
서적
Norfolk
[367]
서적
(출처 불명)
[368]
서적
(출처 불명)
[369]
서적
(출처 불명)
[370]
서적
(출처 불명)
[371]
서적
(출처 불명)
[372]
서적
(출처 불명)
[373]
서적
(출처 불명)
[374]
ODNB
Elizabeth I (1533–1603)
2008
[375]
서적
(출처 불명)
[376]
서적
(출처 불명)
[377]
서적
(출처 불명)
[378]
서적
(출처 불명)
[379]
서적
(출처 불명)
[380]
서적
(출처 불명)
[381]
서적
(출처 불명)
[382]
서적
(출처 불명)
[383]
서적
(출처 불명)
[384]
서적
(출처 불명)
[385]
서적
(출처 불명)
[386]
서적
[387]
서적
[388]
서적
[389]
서적
[390]
서적
[391]
서적
[392]
서적
[393]
서적
[394]
서적
Early modern England 1485–1714: a narrative history
https://archive.org/[...]
John Wiley and Sons
2009
[395]
서적
Francis Drake, privateer: contemporary narratives and documents
Taylor & Francis
1972
[396]
서적
Armada Española desde la Unión de los Reinos de Castilla y Aragón
Museo Naval de Madrid, Instituto de Historia y Cultura Naval
1972
[397]
서적
Armada Española desde la Unión de los Reinos de Castilla y Aragón
Museo Naval de Madrid, Instituto de Historia y Cultura Naval
1972
[398]
서적
La Europa dividida (1559–1598)
Editorial Critica
2002
[399]
서적
[400]
서적
[401]
서적
[402]
서적
[403]
서적
[404]
서적
[405]
서적
[406]
서적
Russia and Britain
Collins
[407]
서적
Russia and Britain
Collins
[408]
서적
Speaking of the Moo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8
[409]
서적
[410]
서적
United States History
https://archive.org/[...]
McGraw-Hill
2016
[411]
서적
England's Quest of Eastern Trade
A. & C. Black
1998
[412]
서적
[413]
서적
[414]
서적
[415]
서적
[416]
서적
[417]
서적
[418]
서적
[419]
서적
[420]
서적
[421]
서적
[422]
서적
[423]
서적
[424]
웹사이트
The best books on Elizabeth I – a Five Books interview with Helen Hackett
https://fivebooks.co[...]
2019-02-25
[425]
서적
[426]
뉴스
The Tudors had bad teeth? What rot!
https://web.archive.[...]
The Daily Telegraph
2015-01-18
[427]
서적
[428]
서적
[429]
서적
[430]
서적
[431]
서적
[432]
서적
[433]
서적
[434]
서적
1603: The Death of Queen Elizabeth, the Return of the Black Plague, the Rise of Shakespeare, Piracy, Witchcraft and the Birth of the Stuart Era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2004
[435]
서적
[436]
서적
[437]
서적
[438]
서적
[439]
서적
[440]
서적
[441]
서적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